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python] 파일 운용(File Operation)

파일 운용(File Operation) 파일 열기/생성 파일에 쓰기 파일 내용 읽기 파이썬 인터프리터에서 실행한 여러 작업들은 컴퓨터 주기억장치인 RAM(random access memory)에 저장됩니다. 이 저장소는 인터프리터가 종료되면 함께 RAM에 저장된 작업과정이나 결과가 휘발되므로 영구적으로 저장되는 하드디스크에 그 작업을 저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과정은 표 1의 함수 또는 메소드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표 1 파일 운용을 위한 함수 순서 함수/메소드 내용 1 open() 파일 열기, 함수 2 write() 쓰기(입력) , 메소드 2 read() 읽기 , 메소드 3 close() 파일 닫기, 메소드 파일 열기/생성 파일을 호출 또는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내장함수인 open() 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함수는 파일의 경로와 그 파일을 처리하는 방식을 지정합니다. 파일의 처리방식은 표 2에 소개한 것과 같이 다양합니다. 표 2 open() 함수의 mode 종류 mode 의  미 'r' 읽기전용(기본값) 'w' 쓰기 전용,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고 파일이 존재한다면 이전 내용은 지워집니다. 'x' 파일 생성, 파일이 존재한다면 에러발생 'a' 파일의 기존 내용의 끝에 첨가되고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 파일이 생성 't' 파일을 text 모드로 엽니다(기본). 'b' 파일을 이진모드로 엽니다. '+' 파일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오픈합니다. 사용방식은 r 과 w를 모두 사용합니다. open() 함수 사용 후 결과를 저장을 위해서는 인터프리터에서 그 객체(결과)를...

문자와 문자열(Character & String)

문자와 문자열(Character & String)

인코딩과 디코딩

컴퓨터에 입력된 문자 역시 2진수로 변환 합니다. 그러나 문자 자체가 수치형인 2진수로 직접적으로 변환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특정한 문자는 대응되는 고유한 정수값을 가지며 그 정수를 2진수로 변환합니다. 이 과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입력되는 데이터가 문자 또는 숫자인지를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C 등의 언어에서는 자료형을 미리 선언하는데 반해 파이썬은 작은 따옴표(' ')나 큰 따옴표(" ")로 문자(character) 또는 문자열(string)임을 선언합니다.

이와같이 입력된 문자는 컴퓨터에서 2진수로 코드화되는데 이 과정을 인코딩(encoding)이라 하며 반대로 인코딩의 결과인 코드포인트를 문자로 전환하는 과정을 디코딩(decoding)이라 합니다.

특정한 문자에 대응하는 이진수 값을 코드 포인트(code point)라고 합니다.

내장함수 ord(문자)chr(정수)를 사용하여 문자와 정수의 매칭관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문자 'c'에 매칭되는 정수와 이를 이진수로 나타낸 것입니다.

ch='c'
ord(ch)
99
chr(ord(ch))
'c'

문자 'c'에 대응하는 정수와 2진수 값은 정수를 이진수를 반환하는 내장함수인 bin()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bin(ord(ch))
'0b1100011'

하나의 글자를 문자(character), 한 개 이상의 문자들의 집합을 문자열(string) 이라고 합니다. 다른 많은 프로그래밍언어에서는 문자와 문자열을 엄격히 구별하지만 파이썬에서 둘 모두 문자열(string)로 인식합니다. 그러므로 파이썬에서 문자나 문자열은 한 개 이상의 값들을 포함하는 객체로 3 장에서 언급하는 컬렉션(여러개의 값들을 그룹화한 자료형)에 포함됩니다.

  • 문자(character)
    • 'ㄱ', 'ㄴ', 'a','b'와 같은 기호
    • Unicode character로 정의
    • 이진수로 변환되어 메모리에 저장
  • string(문자열)
    • character(문자)들로 구성된 시퀀스(sequence)(객체에 포함된 각 값이 순서를 가지는 자료형태)

파이썬으로 생성한 객체는 내장 메서드인 encode()decode()를 사용하여 인코딩과 디코딩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 메서드는 각각 이진수로 코드화 된 결과와 다시 문자로 전환된 결과를 반환합니다.

메서드는 미리 정의된 객체에서만 작용하는 함수입니다. 그러므로 객체.메서드()와 같이 메서드가 소속된 객체와 연결되어야 합니다.

s='coffee'
b=s.encode('utf-8'); b
b'coffee'
b.decode()
'coffee'

위 결과에서 접두어 b는 이진수임을 나타냅니다. 위의 결과와 같이 영어에 대한 인코딩 결과는 입력한 결과와 같은 모양을 가지지만 영어 외의 다른 언어는 다음의 결과와 같이 16진수로 반환됩니다.

s1='커피'
b1=s1.encode('utf-8'); b1
b'\xec\xbb\xa4\xed\x94\xbc'
b1.decode()
'커피'

문자열의 생성과 인덱스

전절에서 소개한 것과 같이 문자열은 작은 따옴표(' ') 또는 큰 따옴표(" ")내에 입력합니다. 이 형식으로 입력할 경우 길이에 상관없이 하나의 행으로 출력됩니다. 여러줄의 문자열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삼중 따옴표(''' ''' 또는 """ """)를 사용합니다. 문자열을 선언하기 위한 따옴표의 종류, 즉 큰따옴표 또는 작은 따옴표는 상관없지만 여는 따옴표와 닫는 따옴표는 일관적이어야 합니다.

a='Hello'
a
'Hello'
b="python"
b
'python'
c="""파이썬을 시작합시다.
공부가 아닌 놀이입니다.
즐기세요."""
c
'파이썬을 시작합시다.\n공부가 아닌 놀이입니다.\n즐기세요.'

문자열 'python'은 문자 'p', 'y', 't', 'h', 'o', 'n'로 구성된 객체로서 이 경우 각각의 문자를 그 문자열 객체의 요소(element)라고 합니다. 요소들로 구성된 객체에서 각 요소는 왼쪽부터 0, 1, 2, ...와 같이 번호가 자동으로 할당됩니다. 그 번호를 인덱스(index)라고 하며 0으로 시작되는 정수입니다. 이와 같이 부여된 인덱스에 의해 객체의 각 요소는 순서를 가지므로 문자열 객체는 시퀀스(sequence)가 됩니다.

인덱스를 사용하여 객체내의 요소(들)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 "python"의 경우 각 문자는 표 1과 같이 0으로 시작하는 인덱스(index)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최오른쪽의 요소를 기준으로 -1, -2와 같이 음의 정수로 구성된 역인덱스(inverse index) 사용할 수 있습니다.

표 1 문자열 "python"의 인덱스
문자 p y t h o n
인덱스 0 1 2 3 4 5
역인덱스(음부호) -6 -5 -4 -3 -2 -1

표 1과 같이 문자열의 각 문자에 부여된 인덱스를 사용하여 그에 대응하는 요소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객체에 인덱스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식 1과 같이 대괄호를 사용합니다.

객체[인덱스](식 1)
b[0]
'p'
b[5]
'n'

역인덱스는 많은 요소들을 가진 객체의 마지막 요소의 호출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객체 b의 마지막 요소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b[-1]
'n'

객체의 인덱스와 콜론연산자(:)를 사용하여 객체의 일부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이를 슬라이싱(slicing)이라고 하며 표 2에 소개한 규칙을 적용합니다.

표 2 슬라이싱 규칙(Slicing Rule)
규칙 내용
[a:b] 인덱스 a~(b-1)까지에 대응하는 요소들
[start:end:interval] 인덱스 start~(end-1)사이에 interval 간격에 대응하는 요소들
[:] 객체의 모든 요소들
[-1] 객체의 마지막 요소
음 부호를 사용
[::-1] 모든 요소들을 역순으로 정렬
b="python"
b[1:5]
'ytho'
b[1:5:2]
'yh'
b[:]
'python'
b[::-1]
'nohtyp'

문자열은 불변(Immutable)객체

문자열은 불변객체 로서 객체 내의 각 문자는 수정하거나 교환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문자열을 동일한 이름의 객체에 다시 할당하는 방식으로 객체의 내용을 바꿀수 있습니다. 다음 코드 ①과 같이 객체의 원소를 수정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코드 ②와 같이 객체 자체에 다른 값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a="Hello"
a
'Hello'
a[1]
'e'
a[1]='a'      # ①
...TypeError: 'str' object does not support item assignment
a='change'  # ②
a
'change'

또한 이미 생성된 문자열 객체는 키워드 del을 사용하여 삭제할 수 있습니다. 물론 문자열 내의 각 문자의 삭제는 에러를 발생합니다.

del a
a
NameError: name 'a' is not defined
b[3]
'h'
del b[3]
TypeError: 'str' object doesn't support item deletion

문자열 연산

표 3에서 소개한 일부 연산자는 문자열과 문자열들의 사이의 연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표 3 문자열 연산자
연산자 내용
a + b + ... 두개 이상의 문자열 연결
("..." "..." ...) 소괄호 내의 문자열 연결
a*n 문자 또는 문자열(a)을 n번 반복 (n: 정수)
'a' in b a가 b에 포함 여부를 True/False로 판단
a='Hello'
b="python"
a+" "+b
'Hello python'
("안녕" " 친구" "!")
'안녕 친구!'
b*2
'pythonpython'
'y' in b
True

대표적인 문자열 메소드

문자열 역시 클래스이며 다양한 메소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몇 가지를 알아보면 표 4와 같습니다.

표 4 문자열의 대표적인 메소드
메소드내용
str.lower() str의 대문자 → 소문자
str.upper() str의 소문자 → 대문자
" ".join(x)x 내에 여러 문자열을 결합하여 연결
str.join(x): 객체 x의 각 요소에 str을 연결
str.split(x) x를 기준으로 문자열(str)을 분리, 기본은 빈칸
str.find(x) 문자열(str)에서 x의 인덱스를 반환
str.replace(x, y) 문자열(str)에서 x를 y로 치환
a='HELLO'
b="python"
a.lower()   # 소문자로 변형
'hello'
b.upper()    # 대문자로 변형 
'PYTHON'
c=["join","메소드는", "여러","문자열을", "결합","합니다."]
d=" ".join(c)
d
'join 메소드는 여러 문자열을 결합 합니다.'
c=["join","메소드는", "여러","문자열을", "결합","합니다."]
d="연결: ".join(c)
d
'join연결: 메소드는연결: 여러연결: 문자열을연결: 결합연결: 합니다.'
e="split 메소드는 문자열을 분리 시킵니다."
e.split()
['split', '메소드는', '문자열을', '분리', '시킵니다.']
e.split("분") # 구분하기 위한 문자, 기호 등(구분자)을 인수로 전달
['split 메소드는 문자열을 ', '리 시킵니다.']
e.find("문")
11
e.replace('split', 'split()')
'split() 메소드는 문자열을 분리 시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ython] 모듈(Module), 패키지(Package)

모듈(Module), 패키지(Package) 프로그램 중 실행가능한 일정한 부분을 그룹화할 수 있습니다. 즉, 그 부분에 이름을 부여하여 객체로 만들어 동일한 작업이 필요할 경우마다 그 객체를 참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 분리된 객체 자체가 프로그램이 되며 모듈(Module) 이라고 합니다. 동일한 자료형을 사용하는 여러개의 모듈을 하나의 디렉터리내로 묶을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을 패키지(package) 라고 합니다. 파이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패키지의 존재하며 계속 생성되고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큰 프로그램을 모듈화하여 사용하는 것은 프로그램의 실행과 수정, 복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모듈(Module) 객체 정의(definition)와 문(statement)을 포함하는 파일 파이썬에서 생성하는 모듈의 확장명은 .py입니다.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부분들의 조합으로 작성하기 위해 사용 모듈 전체 또는 일부를 다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인터프리터에서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객체를 작성하여 확장자 " .py " 형식으로 별도의 파일에 저장한다면 모듈이 됩니다. 모듈/패키지의 import " 임포트(import) "는 파이썬을 작성하고 실행하는 코드 해석기(interpreter)에 모듈을 장착하는 명령 키워드입니다. 다음은 두 수를 더하는 사용자 정의 함수로 별도의 파일(test.py)에 저장된 것입니다. 이 함수는 파이썬 인터프리터의 모든 영역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파이썬 자체를 종결한 후 생성한 함수도 소멸되므로 추후에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파일로 저장합니다. 이렇게 저장된 파이썬 파일이 모듈이 됩니다. def add(a, b): return a+b 위 파일을 모듈로 사용하기 위해 실행파일에서 test.py를 임포트 합니다. 임포트 된 모듈의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 식 1과 같이 그 함수의 모듈...

[python] 객체의 유효범위

객체의 유효범위 내 용 전역(global) 전역변수와 지역변수 전역(global) 이름공간 에 저장된 이름 객체는 특정한 데이터를 참조, 즉 연결(binding) 됩니다. 이 연결은 기본적으로 모듈단위로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numpy는 벡터나 행렬 등의 배열을 다루기 위해 특화된 파이썬 패키지입니다. 이 패키지의 array() 함수는 배열을 생성하기 위한 함수로서 다음 코드와 같이 패키지를 장착한 뒤에 식 1과 같이 연결연산자(.) 를 사용하여 함수가 작동할 영역을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import numpy as np x=np.array([1,2,3]);x array([1, 2, 3]) 위 코드의 np.array()는 array() 함수의 작동은 numpy 패키지의 영역으로 한정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그 함수의 유효범위를 지정하지 않을 경우 에러가 발생합니다. y=array([1,2,3]); y NameError: name 'array' is not defined 이러한 모듈 장착 - 동작의 영역 지정 - 이 불필요한 기본 파이썬을 파이썬 코어(core) 라고 하며 이 코어 프로그램은 파이썬 작성에 필수적인 다양한 함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함수를 내장함수(built-in function) 라고 합니다. 각 모듈은 고유한 자료형 또는 형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력할 자료의 형식을 그 유형에 적합하도록 변환됩니다. 이러한 변환은 객체 생성시 자동으로 부여되는 여러 속성(내장 속성) 때문에 가능합니다. 또한 특정한 모듈 또는 패키지의 객체에 내장함수가 작동하는 이유 역시 이러한 속성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 코드의 객체의 길이를 반환하는 내장 함수 len() 은 특정한 작동영역을 지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모듈에서 생성된 객체에 대해서도 작동합니다. 즉, 내장함수는 파이썬 코어가 작동하는 모든 범위에서 작동합니다. ...

[python] 다줄(multiline) 입력과 주석(comments)

Multi line 입력 긴 단일 명령은 괄호나 역슬래시(\)를 사용하여 여러줄로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습니다. a = 1 + 2 + 3 +\ 4 + 5 + 6 +\ 7 + 8 + 9 a 45 또는 다음과 같이 괄호 '()', '[ ]','{}' 등으로 자료를 여러줄로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습니다. str=["apple","watermelon", "computer","car", "book", "pencile"] str ['apple', 'watermelon', 'computer', 'car', 'book', 'pencile'] 주석(comments) 주석은 코드에 대한 설명 등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코드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무시되는 부분입니다. 그러나 코드를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user)들이나 자신이 작성한 코드를 추후에 다시 고려할 때 그 코드를 이해하는 중요한 키가 됩니다. 한 줄 주석은 hash(#) 시작으로 작성합니다. 여러줄의 주석은 세개의 작은 따옴표(''' ~''') 또는 세개의 큰 따옴표(""" ~ """)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주석은 hash를 시작으로 작성됩니다. #다음은 "Hello"를 출력하라는 코드입니다. print("Hello") Hello """ 여러줄에 코드를 분리하여 작성할 경우 역슬래시를 사용합니다.""" a= 1+2+3+\ 4+5+6+\ 7+8+9 a 45 위에서 소개한 3개의 따옴표는 Docstring을 작성하기 위해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