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 운용(File Operation)     파일 열기/생성    파일에 쓰기    파일 내용 읽기   파이썬 인터프리터에서 실행한 여러 작업들은 컴퓨터 주기억장치인 RAM(random access memory)에 저장됩니다. 이 저장소는 인터프리터가 종료되면 함께 RAM에 저장된 작업과정이나 결과가 휘발되므로 영구적으로 저장되는 하드디스크에 그 작업을 저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과정은 표 1의 함수 또는 메소드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표 1 파일 운용을 위한 함수   순서 함수/메소드 내용   1 open()  파일 열기, 함수  2 write()  쓰기(입력) , 메소드  2 read()  읽기 , 메소드  3 close() 파일 닫기, 메소드   파일 열기/생성  파일을 호출 또는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내장함수인 open() 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함수는 파일의 경로와 그 파일을 처리하는 방식을 지정합니다. 파일의 처리방식은 표 2에 소개한 것과 같이 다양합니다.   표 2 open() 함수의 mode 종류        mode     의  미            'r'     읽기전용(기본값)         'w'     쓰기 전용,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고  파일이 존재한다면 이전 내용은 지워집니다.         'x'     파일 생성, 파일이 존재한다면 에러발생         'a'     파일의 기존 내용의 끝에 첨가되고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 파일이 생성         't'     파일을 text 모드로 엽니다(기본).         'b'     파일을 이진모드로 엽니다.         '+'     파일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오픈합니다. 사용방식은 r 과 w를 모두 사용합니다.       open()  함수 사용 후 결과를 저장을 위해서는 인터프리터에서 그 객체(결과)를...
Python
- 문(Statement)과 식(Expressions)
 - Block(블럭)과 들여쓰기(Indentation)
 - 다줄(multiline) 입력과 주석(comments)
 - 밑줄과 내장 메소드(Underscores & Built-in method)
 - 모듈(Module), 패키지(Package)
 - 객체(Object)와 참조(Reference)
 - 리터럴(literal)
 - 변수와 상수
 - 객체의 유효범위
 - 얕은 복사(shallow copy)와 깊은 복사(deep copy)
 - 연산자(Operator) I: 산술, 비교, 논리 연산자
 - 연산자 II: 비트 연산자, 특수한 연산자
 - 보수(complement)
 - 자료형(type)의 분류
 - 파일 운용(File Operation)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