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python] 파일 운용(File Operation)

파일 운용(File Operation) 파일 열기/생성 파일에 쓰기 파일 내용 읽기 파이썬 인터프리터에서 실행한 여러 작업들은 컴퓨터 주기억장치인 RAM(random access memory)에 저장됩니다. 이 저장소는 인터프리터가 종료되면 함께 RAM에 저장된 작업과정이나 결과가 휘발되므로 영구적으로 저장되는 하드디스크에 그 작업을 저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과정은 표 1의 함수 또는 메소드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표 1 파일 운용을 위한 함수 순서 함수/메소드 내용 1 open() 파일 열기, 함수 2 write() 쓰기(입력) , 메소드 2 read() 읽기 , 메소드 3 close() 파일 닫기, 메소드 파일 열기/생성 파일을 호출 또는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내장함수인 open() 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함수는 파일의 경로와 그 파일을 처리하는 방식을 지정합니다. 파일의 처리방식은 표 2에 소개한 것과 같이 다양합니다. 표 2 open() 함수의 mode 종류 mode 의  미 'r' 읽기전용(기본값) 'w' 쓰기 전용,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고 파일이 존재한다면 이전 내용은 지워집니다. 'x' 파일 생성, 파일이 존재한다면 에러발생 'a' 파일의 기존 내용의 끝에 첨가되고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 파일이 생성 't' 파일을 text 모드로 엽니다(기본). 'b' 파일을 이진모드로 엽니다. '+' 파일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오픈합니다. 사용방식은 r 과 w를 모두 사용합니다. open() 함수 사용 후 결과를 저장을 위해서는 인터프리터에서 그 객체(결과)를

[python] 연산자 II: 비트 연산자, 특수한 연산자

연산자 II

비트 연산자(Bitwise operators)

컴퓨터 연산은 2진법에 의해 진행됩니다. 데이터가 입력되면 2진수로 변환되고 그 결과는 메모리에 한 개(1비트)당 0 또는 1로 저장 됩니다. 입력된 두 데이터의 연산은 다음의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1. 2진수로 변환
  2. 동일한 위치에 저장된 값들 사이에 비트단위로 연산

예를 들어 십진수 2와 10의 경우 2진수로 b0010, b1010이 됩니다. 두수의 각 비트의 연산은 표 1과 같습니다.

표 1 2와 10의 비트 연산
십진수 이진수
2 0 0 1 0
10 1 0 1 0
(+)12 1 1 0 0

비트로 표현된 객체 또는 객체들 사이에 연산은 표 2에 소개한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비트 연산을 위해서는 이진수로 전환이 필요하며 음의 이진수로의 변환을 위해서는 보수법을 적용합니다.

표 2 비트 연산자
연산자 의미
x & y 비트 단위로 AND
x | y 비트 단위로 OR
~x 비트 단위로 NOT, 1의 보수(complement)
x^y 비트 단위로 XOR
(다른 값: True(1), 같은 값: False(0))
x >> a 객체 x를 오른쪽으로 a 비트 이동
x << a 객체 x를 왼쪽으로 a 비트 이동

표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표 2에서 소개한 비트연산자 역시 동일한 위치의 비트 사이에서 연산이 이루어집니다.

x=2
y=10
print(bin(x))
0b10
print(bin(y))
0b1010
x & y
2
x | y
10
x^y
8

위 두 연산의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x =  0(F)0(F)1(T)0(F) ⇒ 2
y =  1(T)0(F)1(T)0(F) ⇒ 10
& :  0010 ⇒ 2
| =  1010 ⇒ 10
x^y =  1000 ⇒ 8

연산자 ~는 각 비트 값의 반전입니다. 위 x의 반전(1의 보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0010
not x(~x) ⇒ 1101

위 반전된 값은 최왼쪽 비트가 1이므로 음수를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대응하는 십진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양수로 전환합니다. 양수와 음수의 상호전환은 2의 보수에 의해 결정합니다.

1101
2의보수 ⇒ 0011 ⇒ 3
∴ 1101(2) = -3(10)
~x
-3
bin(~0b10)
'-0b11'

비트의 수를 왼쪽,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수의 변화를 일으킬수 있습니다. 다음은 오른쪽과 왼쪽으로 각 1비트와 2비트를 이동시킨 과정입니다.

x ⇒ 0010
오른쪽 1비트이동: >>1 ⇒ 0001 ⇒ 1
왼쪽 2비트이동: <<2 ⇒ 1000 ⇒ 8
x>>1
1
x<<2
8

특수한 연산자

재할당연산자

위에서 소개한 다양한 연산의 결과를 피연산자 객체에 다시 할당하기 위해 사용합니다(표 3).

표 3 재할당연산자
연산자 x = 5 x += 5 x -= 5 x *= 5 x /= 5
의미 x = 5 x = x+5 x = x-5 x = x*5 x = x/5
연산자 x %= 5 x //= 5 x **= 5 x &= 5 x |= 5
의미 x = x%5 x = x//5 x = x**5 x = x & 5 x = x | 5
연산자 x ^= 5 x >>= 5 x <<= 5
의미 x = x^5 x = x>>5 x = x<<5
x=5
x+=5
x
10
x//=5
x
2
x|=5
x
7
x = 0010
5 = 0101
| ⇒ 0111 = 7

다중할당

파이썬에서는 여러가지 객체에 값들을 동시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

a, b, c=1, 2, 3
(a, b, c)
(1, 2, 3)
a, b, c=b, c, a+b+c
(a, b, c)
(2, 3, 6)

위코드의 다중할당은 다음과 같이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a, b, c=1, 2, 3
a, b, c=b, c, a+b+c
(a, b, c)
(2, 3, 6)

in, is 연산자

객체들의 참조위치의 동일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연산자 is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요소들로 구성된 객체의 경우 각 요소와 객체의 소유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연산자 in을 사용합니다. 표 4는 이 두 연산자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표 4 in, is 연산자
연산자 의미
x is not y x,y가 동일하면 False
x is y x,y가 동일하면 True
x in y x가 y의 원소이면 True
x not in y x가 y의 원소가 아니면 True
x='python'
y='python practice'
x is y
False
x is not y
True
x=[1,2, 'apple', 7]
 'apple' in x
True
10 in x
False
7 not in x
False

가변연산자('*')

객체의 참조는 일대일로 이루어집니다. 다음 코드는 다중할당을 실행하는 것으로 객체 a, b는 순차적으로 각 값 1과 2를 참조합니다. 나머지 두 개 3과 4를 할당받는 객체 두 개가 필요하지만 연산자 asterik(*)과 연결된 객체 c는 이 두 값을 모두 참조할 수 있습니다. 이 연산자를 가변연산자, 그 대상을 가변객체라고 합니다.

a, b, *c=1,2,3,4
print(a)
print(b)
print(c)
1
2
[3, 4]

위 코드에서 *c는 a와 b에 할당받고 남은 요소들을 모두 할당받습니다. 위와 반대로 할당되는 값이 부족한 경우 객체 가변 객체인 c에는 할당될 데이터가 없는 상태이므로 빈 객체가 생성됩니다. 다시 말하면 가변객체가 참조할 수 있는 객체의 크기는 코드의 실행 중에 결정되므로 일대일로 참조하는 객체들의 실행이 완료된 다음에 가변객체가 할당이 이루어 집니다.

a, b, *c=1,2
print(a)
print(b)
print(c)
1
2
[]

위와 같은 상황으로 가변 객체를 c에서 b로 변경하면 가변객체인 b의 실행은 a, c의 할당이 이루어진 후에 실행됩니다. 그러나 b에 할당할 값이 없는 상태이므로 빈 객체가 됩니다.

a, *b, c=1,2
print(a)
print(b)
print(c)
1
[]
2
a, *b, c=1,2,3,4
print(a)
print(b)
print(c)
1
[2,3]
4

위 코드 결과와 같이 연산자 *와 연결된 객체의 크기는 가변적입니다. 위 결과들로부터 할당하기 위한 값의 수가 객체의 수보다 많을 경우 할당 순서가 지켜집니다. 그러나 값의 수가 작을 경우 가변객체에 할당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이 순서의 혼동 때문에 일반적으로 가변객체는 순서상 마지막에 입력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ython] 연산자(Operator) I: 산술, 비교, 논리 연산자

1.4 연산자(operator) 산술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연산자(logical operators) 비트 연산자 특수한 연산자 데이터들 사이에 연산이 필요한 경우 연산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약속이 존재합니다. 이 약속된 규칙 또는 표현을 연산자(operator) 라고 합니다. 연산자는 특정한 명령(들)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코드들을 그룹화하는 함수 입니다. 파이썬은 산술, True 또는 False의 결과를 반환하는 논리 연산 등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연산자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연산에 참여하는 값들을 피연산자(operand) 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 코드는 두 수치형 리터럴의 덧셈을 실행한 것입니다. 5+8 13 두 정수의 덧셈연산은 연산자 ' + '에 의해 실행되며 이 연산에 관계된 5와 8이 피연산자가 됩니다. 그 연산의 결과는 13입니다. 산술 연산자(Arithmatic operators) 표 1은 두 객체에 대한 산술 연산을 실행하기 위한 연산자 입니다. 표 1 산술연산자 연산자 의미 x + y 단일 또는 두개의 피연사자의 덧셈 x - y 단일 또는 두개의 피연사자의 뺄셈 x * y 두개의 피연사자의 곱셈 x / y 두개의 피연사자의 나눗셈으로 결과는 실수형 x % y 두개의 피연사자의 나눗셈의 나머지를 반환 x // y 두개의 피연사자의 나눗셈의 몫을 반환 x**y 피연산자의 거듭제곱 (power) x=5 y=2 print(x+y) # 덧셈 print(x-y) # 뺄셈 print(x*y) # 곱셈 print(x/y) # 나눗셈 7 3 10 2.5 print(x//y) # 몫 print(x%y) # 나머지 2 1 print(x**y) # 거듭제곱 25

[python] 객체(Object)와 참조(Reference)

객체(Object)와 참조(Reference) 객체(Object) 다음 코드 ①은 단순히 숫자를 입력한 것입니다. 3  # ① 3 그러나 코드 ①로 생성된 3은 실행 후에 다시 호출할 수 없습니다. 반면에 다음 코드 ②는 할당 연산자 ' = '를 사용하여 왼쪽의 이름에 오른쪽의 값을 할당한 것으로 3을 호출할 수 있는 이름이 존재합니다. 즉, x를 사용하여 3을 호출할 수 있습니다. 특정한 동작을 일으키는 기호를 연산자(operator)라고 하며 등호(=)의 경우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할당한다는 의미로 할당연산자(assignment operator) 라고 합니다. x=3 #② x 3 코드 ③은 코드 ②값과 다른 값의 합의 결과를 y에 할당한 것입니다. y=x+7 #③ y 10 위 코드 ①과 ②의 차이는 코드 ③에서와 같이 재사용 여부에 있습니다. 즉, '3'이라는 숫자에 이름을 부여하여 재사용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파이썬 코드에 의해 생성되어 저장된 상태로 재사용이 가능한 대상을 객체(object) 라고 합니다. 즉, 다음 그림 1과 같이 객체는 저장된 데이터를 가리키는 이름과 연결된 상태(참조상태)입니다. 위 코드 ②의 할당 과정은 메모리에 저장된 3이라는 숫자에 이름 x를 부여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소개하면 x와 3의 저장 위치는 다르며 x는 값 3의 저장 위치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연산자 "="는 왼쪽과 오른쪽이 같다는 의미가 아니고 오른쪽 값을 왼쪽에 할당한다것을 의미합니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파이썬은 메모리를 두 종류로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하나는 실제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공간이고 다른 하나는 코드 ②와 ③같이 부여된 이름들을 저장하는 이름공간(namespace) 입니다. 그림 1과 같이 코드 ②의 이름 x는 이름공간에 위치하며 데이터 공간의 값 3과 연결(binding)되는 것으로 이 관계를 참조(reference) 라고 표시 합니다. 결과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