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7월, 2024의 게시물 표시

[python] 파일 운용(File Operation)

파일 운용(File Operation) 파일 열기/생성 파일에 쓰기 파일 내용 읽기 파이썬 인터프리터에서 실행한 여러 작업들은 컴퓨터 주기억장치인 RAM(random access memory)에 저장됩니다. 이 저장소는 인터프리터가 종료되면 함께 RAM에 저장된 작업과정이나 결과가 휘발되므로 영구적으로 저장되는 하드디스크에 그 작업을 저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과정은 표 1의 함수 또는 메소드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표 1 파일 운용을 위한 함수 순서 함수/메소드 내용 1 open() 파일 열기, 함수 2 write() 쓰기(입력) , 메소드 2 read() 읽기 , 메소드 3 close() 파일 닫기, 메소드 파일 열기/생성 파일을 호출 또는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내장함수인 open() 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함수는 파일의 경로와 그 파일을 처리하는 방식을 지정합니다. 파일의 처리방식은 표 2에 소개한 것과 같이 다양합니다. 표 2 open() 함수의 mode 종류 mode 의  미 'r' 읽기전용(기본값) 'w' 쓰기 전용,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고 파일이 존재한다면 이전 내용은 지워집니다. 'x' 파일 생성, 파일이 존재한다면 에러발생 'a' 파일의 기존 내용의 끝에 첨가되고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 파일이 생성 't' 파일을 text 모드로 엽니다(기본). 'b' 파일을 이진모드로 엽니다. '+' 파일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오픈합니다. 사용방식은 r 과 w를 모두 사용합니다. open() 함수 사용 후 결과를 저장을 위해서는 인터프리터에서 그 객체(결과)를

[python] 파일 운용(File Operation)

파일 운용(File Operation) 파일 열기/생성 파일에 쓰기 파일 내용 읽기 파이썬 인터프리터에서 실행한 여러 작업들은 컴퓨터 주기억장치인 RAM(random access memory)에 저장됩니다. 이 저장소는 인터프리터가 종료되면 함께 RAM에 저장된 작업과정이나 결과가 휘발되므로 영구적으로 저장되는 하드디스크에 그 작업을 저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과정은 표 1의 함수 또는 메소드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표 1 파일 운용을 위한 함수 순서 함수/메소드 내용 1 open() 파일 열기, 함수 2 write() 쓰기(입력) , 메소드 2 read() 읽기 , 메소드 3 close() 파일 닫기, 메소드 파일 열기/생성 파일을 호출 또는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내장함수인 open() 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함수는 파일의 경로와 그 파일을 처리하는 방식을 지정합니다. 파일의 처리방식은 표 2에 소개한 것과 같이 다양합니다. 표 2 open() 함수의 mode 종류 mode 의  미 'r' 읽기전용(기본값) 'w' 쓰기 전용,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고 파일이 존재한다면 이전 내용은 지워집니다. 'x' 파일 생성, 파일이 존재한다면 에러발생 'a' 파일의 기존 내용의 끝에 첨가되고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 파일이 생성 't' 파일을 text 모드로 엽니다(기본). 'b' 파일을 이진모드로 엽니다. '+' 파일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오픈합니다. 사용방식은 r 과 w를 모두 사용합니다. open() 함수 사용 후 결과를 저장을 위해서는 인터프리터에서 그 객체(결과)를

[python] 컴퓨터에서 숫자를 다루는 방식

컴퓨터에서 숫자를 다루는 방식 정수의 표현방식 부동소수점(float), 실수의 표현 숫자형의 표현범위 사용자가 입력한 값은 컴퓨터 저장 장치에 비트(bit) 단위로 1 또는 0으로 저장됩니다. 결과적으로 컴퓨터 연산은 2진수로 이루어집니다. 정수의 표현방식 다음 식은 컴퓨터에서 5를 저장하거나 연산하기 위해 이진수로 변환한 것입니다. 5 = 1 × 2 2 + 0 × 2 1 + 1 × 2 0 위와 같이 십진수 5는 이진수 101로 변환되며 그 이진수 값은 다음과 같이 아래첨자로 진수를 표현합니다. 일반적으로 십진수에 대한 아래첨자는 생략됩니다. 5 (10) = 101 (2) 1 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수는 0 또는 1이므로 비트수에 대한 표현 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c = 2 n ,  c: Capacity, n: 비트수 그러므로 8비트에서의 표현할 수 있는 수는 다음과 같이 256이므로 0 ~ 255까지 나타낼 수 있습니다. 2**8 256 정수인 경우는 음과 양의 사인(sign)을 저장하기 위해 최왼쪽의 1비트가 예약되므로 숫자는 최대 7비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양수를 0 음수를 1로 처리합니다. 그러므로 수를 저장하기 위한 비트는 7개로 양수의 최대값은 0111111 (2) 이 됩니다. 이는 127 (10) 이 됩니다. 컴퓨터에서 음수를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부호 비트를 지정하여 양수에 대한 음수는 2의 보수(tow's complement) 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일정한 비트수를 기준으로 이진수로 변환할 수 있는 십진수의 범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n-1 ~ 2 n-1 - 1, n: 비트수 십진수 정수를 2진수로 전환하기 위해 내장함수 int() , bin() 을 적용합니다. int('0b01111111', 2) 127 int('0b10000000', 2) 1

문자와 문자열(Character & String)

문자와 문자열(Character & String) 인코딩과 디코딩 문자열의 생성과 인덱스 문자열은 불변(Immutable)객체 문자열 연산 대표적인 문자열 메소드 인코딩과 디코딩 컴퓨터에 입력된 문자 역시 2진수로 변환 합니다. 그러나 문자 자체가 수치형인 2진수로 직접적으로 변환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특정한 문자는 대응되는 고유한 정수값을 가지며 그 정수를 2진수로 변환합니다. 이 과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입력되는 데이터가 문자 또는 숫자인지를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C 등의 언어에서는 자료형을 미리 선언하는데 반해 파이썬은 작은 따옴표(' ')나 큰 따옴표(" ") 로 문자(character) 또는 문자열(string)임을 선언합니다. 이와같이 입력된 문자는 컴퓨터에서 2진수로 코드화되는데 이 과정을 인코딩(encoding) 이라 하며 반대로 인코딩의 결과인 코드포인트를 문자로 전환하는 과정을 디코딩(decoding) 이라 합니다. 특정한 문자에 대응하는 이진수 값을 코드 포인트(code point) 라고 합니다. 내장함수 ord(문자) 와 chr(정수) 를 사용하여 문자와 정수의 매칭관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문자 'c'에 매칭되는 정수와 이를 이진수로 나타낸 것입니다. ch='c' ord(ch) 99 chr(ord(ch)) 'c' 문자 'c'에 대응하는 정수와 2진수 값은 정수를 이진수를 반환하는 내장함수인 bin() 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bin(ord(ch)) '0b1100011' 하나의 글자를 문자(character) , 한 개 이상의 문자들의 집합을 문자열(string) 이라고 합니다. 다른 많은 프로그래밍언어에서는 문자와 문자열을 엄격히 구별하지만 파이썬에서 둘 모두 문자열(string)로 인식합니다. 그러므로 파이썬에서 문자나 문자열은 한 개 이상의 값들을 포

[python] 문자열 형식 지정(표현 방식)

문자열 형식 지정 다음의 객체들을 문자열속에 삽입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num=20220421 name="Kim" name+", 안녕하세요" 'Kim, 안녕하세요' 위 코드는 문자열 연산자인 "+"를 적용한 것입니다. 이와 같이 어떤 객체를 문자열에 삽입하여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합니다. 위 결과와 마찬가지로 다음의 방식들로 생성된 객체 역시 문자열입니다. printf-style Python의 문자열에는 % 연산자로 액세스할 수 있는 고유한 내장 연산이 있습니다. 다음 예는 %s 형식 지정자를 사용하여 문자열 객체인 name을 대체할 위치를 Python에 알려줍니다. 이것을 printf-style String Formatting 라고 합니다. '%s, 안녕하세요' % name 'Kim, 안녕하세요' 이 스타일로 하나 이상의 객체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 연산자의 인수를 튜플 형식으로 전달합니다. "%s의 등록번호는 %d입니다." % (name, num) 'Kim의 등록번호는 20220421입니다.' 위 코드에서 문자열을 반환하기 위한 형식지정자 %s외에 정수를 나타내기 위해 %d 를 사용하였습니다. 외에 %f, %x 는 각각 부동소수와 16진수 값을 표현 형식을 위한 지정자입니다. cl="math" avg=75 sd=11.674 "%s의 평균 :%d, 표준편차: %f" %(cl, avg, sd) 'math의 평균 :75, 표준편차: 11.674000' 다음 코드와 같이 부동소수의 경우 소수점이하의 자릿수를 지정하기 위해 %와 f 사이에 .자릿수 를 입력합니다. "%s의 평균 :%d, 표준편차: %.3f" %(cl, avg, sd) 'math의 평균 :75, 표준편차: 11.674' 10진수 값

[python] 이스케이프 문자(escape character)

Escape sequence 문자열을 작성할 경우 여러 상황에 사용되는 특수문자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문자열에 대화의 문구를 사용할 경우 따옴표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문자열 자체가 따옴표로 처리되므로 따옴표 본래의 표시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우 세개의 따옴표(''' ''', 또는 """ """) 또는 역슬래시("\")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int("He said, "What's there?") SyntaxError: invalid syntax print('''He said, "What's there?"''') He said, "What's there?" print("""He said, "What's there?" """) He said, "What's there?" print("He said, \"What's there?\" ") He said, "What's there?" 위 결과와 같이 역슬래시를 사용하여 각 기호 본래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어떤 상황을 지정하여 사용되는 기호나 문자들을 이스케이프 문자(escape character) 라고 합니다. 표 1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이스케이프 문자를 나타낸 것입니다. 표 1 이스케이프 문자 Escape 설명 \ 이스케이프 문자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 백슬레시를 나타냄 (\) \', \" 작은 따옴표와 큰 따옴표 \a 벨, 경고음 등을 나타낼 때 사용됨 \b 백스페이스

[python] 수치형의 형변환과 진수변환

수치형 변환 형변환 진수변환 형변환 >파이썬에서 표현되는 10 진수의 숫자형 자료형은 정수형, 실수형, 복소수형으로 구분되며 동일한 자료형들 사이에서만 연산이 이루어집니다. 그러므로 다른 자료형들 사이의 연산은 동일한 형으로 전환 후 실행되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프로그래밍언어에서 수치 자료형의 형변환을 위한 특별한 함수나 명령이 필요한 명시적 변환이 요구되지만 파이썬에서는 숫자형들 사이의 형변환은 암묵적으로 강제(coercion)됩니다. 그러나 문자형은 메모리 저장 과정에서 이미 변환된 상태로서 암묵적(자동적)으로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다음 코드에서 정수형과 실수형의 덧셈이 계산됨을 보여줍니다. 이것은 두 자료형의 형변환이 암시적 또는 강제적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합니다. 21+2.78 23.78 위 계산의 결과는 실수형으로, 연산 중에 정수형은 실수형을 자동 전환됨을 알 수 있습니다. 명시적으로 형변환을 유도하기 위해 다음 함수들을 적용합니다. 표 1 형변환 함수 함수 내용 int(x) 객체 x를 정수형으로 변환 float(x) 객체 x를 부동소수형으로 변환 complex(x) 객체 x를 복소수형으로 변환 21+int(2.78) 23 float(21)+2.78 23.78 # 실수 → 정수 int(-3.21) -3 # 정수 → 실수 float(6) 6.0 # 정수 → 복소수 complex(3) (3+0j) # 실수 → 복소수 complex(3.2) (3.2+0j) 정수와 실수의 연산에서 정수는 실수로 자동변환되지만 그 반대 즉, 실수를 정수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int() 함수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표 2의 함수들은 숫자형으로 변환 가능한 문자열에도 적용됩니다. 파이썬에서 문자열은 윗따옴표(' ' 또는 " ") 내에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23", &q

[python] 숫자형(number typer)

숫자형 (Number type) 기본 연산 지수승(거듭제곱)연산 정수와 실수 반올림 분수(Fraction) 표현 복소수(complex number) 형변환 진수변환 기본 연산 파이썬은 마치 계산기와 같이 적합한 식을 전달하는 것에 의해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 자체로 훌륭한 계산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계산을 위해 사용되는 연산자는 일반 수학이나 계산기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습니다. 즉, 더하기, 빼기, 곱하기 그리고 나누기 연산자는 각각 +, -, * 그리고 / 기호를 사용합니다. 1+2 3 0.9+0.231 1.131 100-27 73 -2.4-0.9 -3.3 3*2 6 3.45*0.12 0.414 3/2 1.5 4.23/1.27 ① 3.330708661417323 나누기 연산에서는 일반 계산기와 다르게 특이한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 코드 ①의 답 3.33…과 같은 실수인 경우 // 와 % 연산자를 사용하여 몫과 나머지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산술연산자 참조 ) 4.23//1.27 3.0 4.23%1.27 0.4200000000000004 위 경우는 실수를 실수로 나눈 것으로 정수에 적용해 봅니다. 5/3 1.6666666666666667 5//3 1 5%3 2 위 코드의 5를 3으로 나눈 경우 실수가 반환됩니다. 실수 중에 몫은 정수부분이 되지만 나머지는 이 결과의 소수부분과는 다릅니다. 즉, //, % 연산자에 의한 결과는 모두 정수로 표현됩니다. 위 정수와 정수의 나눗셈의 결과는 실수이며 몫은 정수입니다. 이 경우 실수를 정수로 변환하면 정수인 몫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실수를 정수로 변환하기 위해 내장함수인 int() 를 적용합니다. int(5/3) 1 파이썬에서는 수를 일정한 형식으로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사실 이러한 구분은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의 프로그램언어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특성입니다. 파이썬

[python] 자료형(type)의 분류

2.1 자료형(type) 숫자형(number typer) 수치형의 형변환과 진수변환 문자와 문자열(character & string) 컴퓨터에 입력되는 데이터 즉, 리터럴(literal, raw data)은 0과 1로 변환되어 메모리에 저장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종류를 구분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입력된 데이터가 0과 1 변환되기 전에 문자인지 숫자인지를 지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메모리 입력되는 원시데이터로 자신을 참조하는 객체를 이미합니다. C, JAVA, Kotlin등과 같은 언어는 자료를 선언하는 단계에서 그 타입을 명시적으로 지정해야 하지만 파이썬의 경우는 자료형의 선언이 암묵적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동일한 자료형내에서만 연산이 이루어지므로 표 1에 제시된 자료형의 분류를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파이썬은 기본적으로 숫자형과 문자형으로 구분하며 리터럴의 1개 이상의 자료를 그룹화하기 위한 컬렉션(collection)(컬렉션 참조)을 가집니다. 표 1 자료형의 분류 분류 자료형 예 기본형 숫자형 int(정수형) -13, 0, 231 float(실수형) -2.31, 0.98, 2.31E2 complex(복소수형) 0.+3j, 1+0j 문자형 String(문자열) 'a', "string' 복합형 (Collections) list [1, 3, 'a', 'string'] tuple (1, 3, 'a', 'string') dictionary {"one": 1, "cha":'a', "str":'string'} set

[python] 연산자 II: 비트 연산자, 특수한 연산자

연산자 II 비트 연산자(Bitwise operators) 특수한 연산자 재할당연산자 다중할당 in, is 연산자 가변연산자('*') 비트 연산자(Bitwise operators) 컴퓨터 연산은 2진법에 의해 진행됩니다. 데이터가 입력되면 2진수로 변환되고 그 결과는 메모리에 한 개(1비트)당 0 또는 1로 저장 됩니다. 입력된 두 데이터의 연산은 다음의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2진수로 변환 동일한 위치에 저장된 값들 사이에 비트단위로 연산 예를 들어 십진수 2와 10의 경우 2진수로 b0010, b1010이 됩니다. 두수의 각 비트의 연산은 표 1과 같습니다. 표 1 2와 10의 비트 연산 십진수 이진수 2 0 0 1 0 10 1 0 1 0 (+)12 1 1 0 0 비트로 표현된 객체 또는 객체들 사이에 연산은 표 2에 소개한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비트 연산을 위해서는 이진수로 전환이 필요하며 음의 이진수로의 변환을 위해서는 보수법 을 적용합니다. 표 2 비트 연산자 연산자 의미 x & y 비트 단위로 AND x | y 비트 단위로 OR ~x 비트 단위로 NOT, 1의 보수(complement) x^y 비트 단위로 XOR (다른 값: True(1), 같은 값: False(0)) x >> a 객체 x를 오른쪽으로 a 비트 이동 x << a 객체 x를 왼쪽으로 a 비트 이동 표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표 2에서 소개한 비트연산자 역시 동일한 위치의 비트 사이에

[python] 보수(complement)

보수(complement) 컴퓨터에서 음수를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부호 비트를 지정하여 양수에 대한 음수는 2의 보수(tow's complement)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보수는 어떤수를 보충하여 완전수를 만들게 하는 수로 1의 보수와 2의 보수 방법이 있으며 어떤수에 대응하는 음수의 이진수 표현은 2의 보수 방법을 적용합니다. 1의 보수 ⇒ 값의 반전, 즉 0 → 1, 1 → 0 예를 들어 4비트에서 완전수는 1111(2)이 됩니다. 그러므로 0010(2)에 1의 보수를 더하면 다음과 같이 완전수가 됩니다. 0 0 1 0  +  1 1 0 1  (1의 보수) 1 1 1 1  (완전수) 2의 보수⇒ 1의 보수 결과 + 1 (2) 예를 들어 위의 1의 보수법에 의한 결과인 1101 (2) 에 1 (2) 를 더하면 1110 (2) 이 됩니다. 기준이 되는 최왼쪽에 있는 비트는 부호를 나타내는 것으로 1이므로 음수임을 나타냅니다. 이 음수값을 직접적으로 십진수로 전환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이 값을 알기 위해서는 다시 2의 보수를 결정합니다. 1 1 1 0 1의 보수 →  0 0 0 1 2의 보수 +  0 0 0 1 2 ⇐  0 0 1 0 위 결과 1110 (2) 의 부호변환 결과는 2이므로 -2가 됩니다. 예) 16비트를 기준으로 2의 보수를 사용하여 십진수 7의 음수인 이진수를 결정해봅니다. 0 0 0 0 … 0 1 1 1 7에 대한 2의 보수:  1 1 1 1 … 1 0 0 1  ⇒ -7 -7의 2진수를 십진수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시 2의 보수를 적용합니다. -7에 대한 2의 보수:  0 0 0 0 … 0 1 1 1  ⇒ 7 numpy 패키지의 binary_repr() 함수를 적용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from numpy import binary_repr binary_repr(-7, width=16) '1111111111111001'

[python] 연산자(Operator) I: 산술, 비교, 논리 연산자

1.4 연산자(operator) 산술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연산자(logical operators) 비트 연산자 특수한 연산자 데이터들 사이에 연산이 필요한 경우 연산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약속이 존재합니다. 이 약속된 규칙 또는 표현을 연산자(operator) 라고 합니다. 연산자는 특정한 명령(들)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코드들을 그룹화하는 함수 입니다. 파이썬은 산술, True 또는 False의 결과를 반환하는 논리 연산 등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연산자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연산에 참여하는 값들을 피연산자(operand) 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 코드는 두 수치형 리터럴의 덧셈을 실행한 것입니다. 5+8 13 두 정수의 덧셈연산은 연산자 ' + '에 의해 실행되며 이 연산에 관계된 5와 8이 피연산자가 됩니다. 그 연산의 결과는 13입니다. 산술 연산자(Arithmatic operators) 표 1은 두 객체에 대한 산술 연산을 실행하기 위한 연산자 입니다. 표 1 산술연산자 연산자 의미 x + y 단일 또는 두개의 피연사자의 덧셈 x - y 단일 또는 두개의 피연사자의 뺄셈 x * y 두개의 피연사자의 곱셈 x / y 두개의 피연사자의 나눗셈으로 결과는 실수형 x % y 두개의 피연사자의 나눗셈의 나머지를 반환 x // y 두개의 피연사자의 나눗셈의 몫을 반환 x**y 피연산자의 거듭제곱 (power) x=5 y=2 print(x+y) # 덧셈 print(x-y) # 뺄셈 print(x*y) # 곱셈 print(x/y) # 나눗셈 7 3 10 2.5 print(x//y) # 몫 print(x%y) # 나머지 2 1 print(x**y) # 거듭제곱 25

[python] 얕은 복사(shallow copy)와 깊은 복사(deep copy)

얕은 복사(shallow copy)와 깊은 복사(deep copy) 객체들의 참조나 요소의 같음과 다름은 두 값이 같음의 여부를 판정하는 연산자 == 와 키워드 is 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a=[1, 2, 3] b=a; b [1, 2, 3] a==b True 위 결과는 두 객체의 값이 같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 결과가 두 객체의 참조점의 위치를 같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즉, 위 결과는 다음의 결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id(a[1])==id(b[1]) True 위 두 코드와 같이 값과 참조점의 위치가 같음은 키워드 is 에 의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a is b True 위 코드의 객체 b는 a를 할당한 것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는 요소들을 참조합니다. 다음 코드의 list() 는 리스트 자료형의 객체를 생성하는 내장함수입니다. 이 함수에 의해 생성된 객체는 같은 값을 포함하지만 다른 참조점을 가집니다. 즉, 다른 객체입니다. c=list(a); c [1, 2, 3] a==c True a is c False 위의 객체들 중에 b의 첫 번째 요소값을 변경시키면 같은 참조점을 가지는 a 역시 수정됩니다. 그러나 다른 객체인 c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b[0]=100; b [100, 2, 3] a [100, 2, 3] c [1, 2, 3] 결과적으로 위의 객체 b와 c는 a를 복사한 것입니다. 그러나 b와 c는 다른 객체입니다. 이와 같이 파이썬은 객체가 객체를 복사하는 2가지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그림 1) 얕은 복사(shallow copy) 위 a와 b 객체의 관계 동일한 참조점에 있는 요소들을 포함 얕은 복사에 있는 객체는 서로 연결되어 있음 깊은 복사(deep copy) 위 a와 c 객체의 관계 동일한 요소들을 가지지만 각 요소의 참조점은 다릅니다. 다른 객체로서 서로 영향을 주지 않음 이 관계를 그림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림 1. 얕은복사와 깊은복사

[python] 객체의 유효범위

객체의 유효범위 내 용 전역(global) 전역변수와 지역변수 전역(global) 이름공간 에 저장된 이름 객체는 특정한 데이터를 참조, 즉 연결(binding) 됩니다. 이 연결은 기본적으로 모듈단위로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numpy는 벡터나 행렬 등의 배열을 다루기 위해 특화된 파이썬 패키지입니다. 이 패키지의 array() 함수는 배열을 생성하기 위한 함수로서 다음 코드와 같이 패키지를 장착한 뒤에 식 1과 같이 연결연산자(.) 를 사용하여 함수가 작동할 영역을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import numpy as np x=np.array([1,2,3]);x array([1, 2, 3]) 위 코드의 np.array()는 array() 함수의 작동은 numpy 패키지의 영역으로 한정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그 함수의 유효범위를 지정하지 않을 경우 에러가 발생합니다. y=array([1,2,3]); y NameError: name 'array' is not defined 이러한 모듈 장착 - 동작의 영역 지정 - 이 불필요한 기본 파이썬을 파이썬 코어(core) 라고 하며 이 코어 프로그램은 파이썬 작성에 필수적인 다양한 함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함수를 내장함수(built-in function) 라고 합니다. 각 모듈은 고유한 자료형 또는 형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력할 자료의 형식을 그 유형에 적합하도록 변환됩니다. 이러한 변환은 객체 생성시 자동으로 부여되는 여러 속성(내장 속성) 때문에 가능합니다. 또한 특정한 모듈 또는 패키지의 객체에 내장함수가 작동하는 이유 역시 이러한 속성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 코드의 객체의 길이를 반환하는 내장 함수 len() 은 특정한 작동영역을 지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모듈에서 생성된 객체에 대해서도 작동합니다. 즉, 내장함수는 파이썬 코어가 작동하는 모든 범위에서 작동합니다.

[python] 모듈(Module), 패키지(Package)

모듈(Module), 패키지(Package) 프로그램 중 실행가능한 일정한 부분을 그룹화할 수 있습니다. 즉, 그 부분에 이름을 부여하여 객체로 만들어 동일한 작업이 필요할 경우마다 그 객체를 참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 분리된 객체 자체가 프로그램이 되며 모듈(Module) 이라고 합니다. 동일한 자료형을 사용하는 여러개의 모듈을 하나의 디렉터리내로 묶을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을 패키지(package) 라고 합니다. 파이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패키지의 존재하며 계속 생성되고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큰 프로그램을 모듈화하여 사용하는 것은 프로그램의 실행과 수정, 복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모듈(Module) 객체 정의(definition)와 문(statement)을 포함하는 파일 파이썬에서 생성하는 모듈의 확장명은 .py입니다.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부분들의 조합으로 작성하기 위해 사용 모듈 전체 또는 일부를 다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인터프리터에서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객체를 작성하여 확장자 " .py " 형식으로 별도의 파일에 저장한다면 모듈이 됩니다. 모듈/패키지의 import " 임포트(import) "는 파이썬을 작성하고 실행하는 코드 해석기(interpreter)에 모듈을 장착하는 명령 키워드입니다. 다음은 두 수를 더하는 사용자 정의 함수로 별도의 파일(test.py)에 저장된 것입니다. 이 함수는 파이썬 인터프리터의 모든 영역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파이썬 자체를 종결한 후 생성한 함수도 소멸되므로 추후에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파일로 저장합니다. 이렇게 저장된 파이썬 파일이 모듈이 됩니다. def add(a, b): return a+b 위 파일을 모듈로 사용하기 위해 실행파일에서 test.py를 임포트 합니다. 임포트 된 모듈의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 식 1과 같이 그 함수의 모듈

[python] 변수와 상수

변수와 상수 대부분의 컴퓨터 언어에서는 입력하는 값을 수정 가능과 불가능한 상태로 구분합니다. 각각을 변수와 상수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집니다. 변수 메모리에 할당된 데이터를 참조하기 위한 이름입니다. 변수의 내용은 수정이나 치환이 가능합니다. 실제로 참조경로가 수정되는 것입니다. 상수 변수와 같지만 수정이나 치환되지 않습니다. 변수나 상수에 값을 할당하기 위해 할당연산자인 ' = ' 를 사용합니다. 다음 코드들은 값을 참조하는 객체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름 객체의 경우 참조하는 객체의 위치를 수정함으로서 값의 수정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파이썬에서 생성하는 객체는 변수입니다. x="apple";x 'apple' x=32 x 32 여러 변수에 각 값을 동시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 a, b, c=5, 3.14, "Python" a 5 b 3.14 c 'Python' 대부분의 컴퓨터 언어에서는 변수와 상수를 선언할 경우 변수/상수임을 함께 선언하는 것에 반해 파이썬은 이러한 선언 문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프로그램 전체에서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값(상수)들이 필요할 경우 별도의 파일을 작성하고 이 파일을 가져오기(import) 하여 상수를 생성합니다. 다음 코드는 일정한 수준에서 반올림한 π 값을 상수로 사용하기 위해 파이썬 파일(contant.py)을 작성한 후 모듈로 임포팅하여 사용한 예입니다(모듈과 임포팅 참조). 작업 중에 값을 임포팅된 값을 수정하더라고 원시파일(raw file)의 그 값은 변경되지 않습니다. import constant pi=constant.PI pi 3.14 constant.PI=3.1 constant.PI 3.1 사용중인 인터프리터에 한번 호출한 모듈은 그 모듈을 다시 호출해도 이전의 내용을 유지합니다. 패키지 imp의 reload(

[python] 리터럴(literal)

Literals(리터럴) 리터럴(literal) 은 메모리에 입력되는 원시데이터(raw data) , 즉 자신을 참조하는 객체를 의미합니다. 파이썬에서는 다양한 타입의 리터럴이 존재합니다. 숫자형 리터럴 숫자형 리터럴에는 3가지 타입이 있습니다(표 1). 표 1 숫자형 리터럴 숫자형 리터럴 정수형 2진수, 8진수, 10진수, 그리고 16진수로 표시 실수형 3.14, 3e-2 등 복소수형 .imag: 허수부분, .real: 실수부분 a=100 #Int a 100 b=3.14 #float b 3.14 c=3e-3 #float, 3e-3 ==3*10 -3 c 0.003 d=3+3.14j #complex d (3+3.14j) d.imag 3.14 d.real 3.0 문자형 리터럴(String) 문자형 리터럴은 일반적으로 단일, 이중 따옴표 를 사용하여 나타냅니다. 문자열을 여러 줄로 나타낼 경우 삼중 따옴표 로 나타냅니다. ch='a' ch2="b" ch, ch2 ('a', 'b') st='한 줄에 문자열을 표시할 때 단일 또는 이중 따옴표를 사용합니다.' print(st) 한 줄에 문자열을 표시할 때 단일 또는 이중 따옴표를 사용합니다. st2="한 줄에 문자열을 표시할 때 단일 또는 이중 따옴표를 사용합니다." print(st2) 한 줄에 문자열을 표시할 때 단일 또는 이중 따옴표를 사용합니다. st3="""여러줄에 걸쳐 문자열을 표시할 경우 삼중 따옴표를 사용합니다.""" print(st3) 여러줄에 걸쳐 문자열을 표시할 경우 삼중 따옴표를 사용합니다. Boolean literals True 또는 False를 반환합니다. True =1, False=0으로 숫자형으로 전환

[python] 객체(Object)와 참조(Reference)

객체(Object)와 참조(Reference) 객체(Object) 다음 코드 ①은 단순히 숫자를 입력한 것입니다. 3  # ① 3 그러나 코드 ①로 생성된 3은 실행 후에 다시 호출할 수 없습니다. 반면에 다음 코드 ②는 할당 연산자 ' = '를 사용하여 왼쪽의 이름에 오른쪽의 값을 할당한 것으로 3을 호출할 수 있는 이름이 존재합니다. 즉, x를 사용하여 3을 호출할 수 있습니다. 특정한 동작을 일으키는 기호를 연산자(operator)라고 하며 등호(=)의 경우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할당한다는 의미로 할당연산자(assignment operator) 라고 합니다. x=3 #② x 3 코드 ③은 코드 ②값과 다른 값의 합의 결과를 y에 할당한 것입니다. y=x+7 #③ y 10 위 코드 ①과 ②의 차이는 코드 ③에서와 같이 재사용 여부에 있습니다. 즉, '3'이라는 숫자에 이름을 부여하여 재사용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파이썬 코드에 의해 생성되어 저장된 상태로 재사용이 가능한 대상을 객체(object) 라고 합니다. 즉, 다음 그림 1과 같이 객체는 저장된 데이터를 가리키는 이름과 연결된 상태(참조상태)입니다. 위 코드 ②의 할당 과정은 메모리에 저장된 3이라는 숫자에 이름 x를 부여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소개하면 x와 3의 저장 위치는 다르며 x는 값 3의 저장 위치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연산자 "="는 왼쪽과 오른쪽이 같다는 의미가 아니고 오른쪽 값을 왼쪽에 할당한다것을 의미합니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파이썬은 메모리를 두 종류로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하나는 실제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공간이고 다른 하나는 코드 ②와 ③같이 부여된 이름들을 저장하는 이름공간(namespace) 입니다. 그림 1과 같이 코드 ②의 이름 x는 이름공간에 위치하며 데이터 공간의 값 3과 연결(binding)되는 것으로 이 관계를 참조(reference) 라고 표시 합니다. 결과적으

[python] 밑줄과 내장메소드(Underscores & Built-in method)

밑줄과 내장 메소드(Underscores & Built-in method) 1. 밑줄의 유형 단일 및 이중 밑줄(" _, __ ")은 일부는 단지 관례적으로 사용되지만 클래스를 초기화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내장 메서드인 생성자 __init__() 와 같이 일부는 파이썬 변수 및 메서드에 첨가하여 특정한 의미를 부여합니다.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단일 선행 밑줄: _var 변수 또는 메서드가 내부 사용을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규칙 단일 선행밑줄의 객체를 와일드카드(*)로 호출할 경우를 제외하고 실행상 차이는 없음 단일 후행 밑줄: var_ 후행 밑줄(접미사)은 규칙에 따라 파이썬 키워드와의 이름 충돌을 피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중 선행 밑줄: __var 작동영역을 한정시킴 이중 선행 및 후행 밑줄: __var__ 파이썬 클래스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내장 메소드(매직 메소드)를 나타내기 위한 명명 규칙 단일 밑줄:_ 임시 또는 중요하지 않은 변수를 나타낼 경우 사용되는 명명규칙 2. 단일 선행 밑줄(Single leading underscore) 변수 및 메서드 이름과 관련하여 단일 밑줄 접두사는 관례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의 동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 단일 밑줄로 시작하는 변수 또는 메서드는 내부 사용을 위한 것임을 암시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파이썬은 Java와 같이 "개인" 변수와 "공용" 변수를 크게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실행 상 어떤 변화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class test: def __init__(self): self.foo=11 self._bar=23 t=test() t.foo 11 t._bar 23 단일 밑줄 접두사는 단지 합의된 규칙이기 이므로 클래스 test의 속성 _bar 의 실행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ython] 연산자 II: 비트 연산자, 특수한 연산자

연산자 II 비트 연산자(Bitwise operators) 특수한 연산자 재할당연산자 다중할당 in, is 연산자 가변연산자('*') 비트 연산자(Bitwise operators) 컴퓨터 연산은 2진법에 의해 진행됩니다. 데이터가 입력되면 2진수로 변환되고 그 결과는 메모리에 한 개(1비트)당 0 또는 1로 저장 됩니다. 입력된 두 데이터의 연산은 다음의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2진수로 변환 동일한 위치에 저장된 값들 사이에 비트단위로 연산 예를 들어 십진수 2와 10의 경우 2진수로 b0010, b1010이 됩니다. 두수의 각 비트의 연산은 표 1과 같습니다. 표 1 2와 10의 비트 연산 십진수 이진수 2 0 0 1 0 10 1 0 1 0 (+)12 1 1 0 0 비트로 표현된 객체 또는 객체들 사이에 연산은 표 2에 소개한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비트 연산을 위해서는 이진수로 전환이 필요하며 음의 이진수로의 변환을 위해서는 보수법 을 적용합니다. 표 2 비트 연산자 연산자 의미 x & y 비트 단위로 AND x | y 비트 단위로 OR ~x 비트 단위로 NOT, 1의 보수(complement) x^y 비트 단위로 XOR (다른 값: True(1), 같은 값: False(0)) x >> a 객체 x를 오른쪽으로 a 비트 이동 x << a 객체 x를 왼쪽으로 a 비트 이동 표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표 2에서 소개한 비트연산자 역시 동일한 위치의 비트 사이에

[python] 연산자(Operator) I: 산술, 비교, 논리 연산자

1.4 연산자(operator) 산술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연산자(logical operators) 비트 연산자 특수한 연산자 데이터들 사이에 연산이 필요한 경우 연산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약속이 존재합니다. 이 약속된 규칙 또는 표현을 연산자(operator) 라고 합니다. 연산자는 특정한 명령(들)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코드들을 그룹화하는 함수 입니다. 파이썬은 산술, True 또는 False의 결과를 반환하는 논리 연산 등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연산자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연산에 참여하는 값들을 피연산자(operand) 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 코드는 두 수치형 리터럴의 덧셈을 실행한 것입니다. 5+8 13 두 정수의 덧셈연산은 연산자 ' + '에 의해 실행되며 이 연산에 관계된 5와 8이 피연산자가 됩니다. 그 연산의 결과는 13입니다. 산술 연산자(Arithmatic operators) 표 1은 두 객체에 대한 산술 연산을 실행하기 위한 연산자 입니다. 표 1 산술연산자 연산자 의미 x + y 단일 또는 두개의 피연사자의 덧셈 x - y 단일 또는 두개의 피연사자의 뺄셈 x * y 두개의 피연사자의 곱셈 x / y 두개의 피연사자의 나눗셈으로 결과는 실수형 x % y 두개의 피연사자의 나눗셈의 나머지를 반환 x // y 두개의 피연사자의 나눗셈의 몫을 반환 x**y 피연산자의 거듭제곱 (power) x=5 y=2 print(x+y) # 덧셈 print(x-y) # 뺄셈 print(x*y) # 곱셈 print(x/y) # 나눗셈 7 3 10 2.5 print(x//y) # 몫 print(x%y) # 나머지 2 1 print(x**y) # 거듭제곱 25

[python] 객체(Object)와 참조(Reference)

객체(Object)와 참조(Reference) 객체(Object) 다음 코드 ①은 단순히 숫자를 입력한 것입니다. 3  # ① 3 그러나 코드 ①로 생성된 3은 실행 후에 다시 호출할 수 없습니다. 반면에 다음 코드 ②는 할당 연산자 ' = '를 사용하여 왼쪽의 이름에 오른쪽의 값을 할당한 것으로 3을 호출할 수 있는 이름이 존재합니다. 즉, x를 사용하여 3을 호출할 수 있습니다. 특정한 동작을 일으키는 기호를 연산자(operator)라고 하며 등호(=)의 경우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할당한다는 의미로 할당연산자(assignment operator) 라고 합니다. x=3 #② x 3 코드 ③은 코드 ②값과 다른 값의 합의 결과를 y에 할당한 것입니다. y=x+7 #③ y 10 위 코드 ①과 ②의 차이는 코드 ③에서와 같이 재사용 여부에 있습니다. 즉, '3'이라는 숫자에 이름을 부여하여 재사용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파이썬 코드에 의해 생성되어 저장된 상태로 재사용이 가능한 대상을 객체(object) 라고 합니다. 즉, 다음 그림 1과 같이 객체는 저장된 데이터를 가리키는 이름과 연결된 상태(참조상태)입니다. 위 코드 ②의 할당 과정은 메모리에 저장된 3이라는 숫자에 이름 x를 부여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소개하면 x와 3의 저장 위치는 다르며 x는 값 3의 저장 위치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연산자 "="는 왼쪽과 오른쪽이 같다는 의미가 아니고 오른쪽 값을 왼쪽에 할당한다것을 의미합니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파이썬은 메모리를 두 종류로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하나는 실제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공간이고 다른 하나는 코드 ②와 ③같이 부여된 이름들을 저장하는 이름공간(namespace) 입니다. 그림 1과 같이 코드 ②의 이름 x는 이름공간에 위치하며 데이터 공간의 값 3과 연결(binding)되는 것으로 이 관계를 참조(reference) 라고 표시 합니다. 결과적으